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돈은 재밌다

(35)
구조화 상품 개념과 특징 | ELS, DLS, 유동화증권 2024년 시장의 뜨거운 감자였던 주가연계증권(ELS)의 판매가 올해 9월부터 재개됩니다. ELS를 포함한 구조화 상품은 중위험·중수익 추구상품으로 개발되었으나 투자원금의 100%까지 손실을 입을 수 있는 위험한 상품입니다. 1. 구조화 상품의 개념2. 구조화 상품의 특징3. 구조화 상품의 종류  3-1. 주가연계증권(ELS: Equity Linked Securities)  3-2. 기타파생결합증권(DLS: Derivatives Linked Securities)  3-3. 유동화증권 1. 구조화 상품의 개념 예금, 주식, 채권, 통화, 파생상품 등의 자산을 가공하거나 혼합하여 만들어진 새로운 금융상품을 말합니다. 대표적으로 주가연계증권(ELS: Equity Linked Securities), 기타파생결합..
[골드만삭스] 2023년 하반기, 미국 증시의 상승세는 계속된다 연초에 골드만삭스의 자산 및 자산 관리 투자 전략 그룹(ISG)은 2023년 S&P 500이 4,200~4,300 목표 범위의 중간 지점에서 두 자릿수 초반의 총 수익률로 마감할 것이라는 기본 시나리오를 제시했습니다. 올해가 절반 이상 남은 상황에서 이 목표치에 도달한 ISG는 랠리가 더 이어질 여지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ISG의 전술적 자산 배분 책임자인 브렛 넬슨은 올해 중반 업데이트에서 2023년에 약 4,000달러가 될 것이라는 컨센서스를 이미 넘어섰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기본 목표 범위를 변경하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ISG는 연말까지 S&P 500 지수가 4,800에 도달할 확률을 20%에서 25%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ISG의 전망은 골드만삭스 내 다른 그룹의 전망과 다를 수 있습니다...
퇴직연금 디폴트 옵션, 놀고 있는 퇴직연금 굴리기 1년간의 유예기간을 거쳐 12일 오늘부터 퇴직연금 사전지정운용제도(디폴트 옵션)가 시행됩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디폴트 옵션이란 무엇인지, 누가 해당하는지, 어떻게 운용되는지 등을 알아보겠습니다. 1. 디폴트 옵션이란? 2. 디폴트 옵션, 누가 해당하나요? 3. 디폴트 옵션 운용 방식 4. TDF가 뭐야? 인기 상품! 5. 퇴직연금 가입 시 주의사항 1. 디폴트 옵션이란? 가입자가 퇴직연금에 들어간 자금을 직접 굴리지 않아도, 사업자가 사전에 등록한 상품에 자동으로 투자하도록 한 옵션입니다. 쉽게 말하자면 내가 사전에 지정한 대로 금융사가 내 퇴직연금을 대신 관리해 주는 겁니다. 확정기여형(DC형) 퇴직연금 가입자의 90%가 퇴직연금을 굴리지 않고 방치하고 있다고 합니다. 1% 소득에 그치는 원리금 보장..
기업가치평가 | 내가 산 주식은 싼가 비싼가 워렌 버핏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가격은 당신이 지불하는 것, 가치는 당신이 갖게되는 것 기업의 가치는 큰 가격표와 같습니다. 누군가 오늘 그 기업을 사려면 지불해야 하는 금액입니다. 오늘의 포스팅은 주식 가치 평가에 대한 가이드입니다. 1. 가치 평가의 원동력 회사를 사과나무라고 생각하세요. 나무의 가치는 현재 나무에 매달려 있는 탐스러운 사과에만 기반하는 것이 아닙니다. 나무의 가치는 나중에 열릴 사과에 기반하기도 합니다. 회사도 마찬가지입니다. 지금 벌어들이는 돈만 중요한 것이 아닙니다. 미래의 수익도 중요합니다. 이것이 바로 '내재가치'입니다. 내재가치는 미래에 기대할 수 있는 것을 바탕으로 '진짜 가치가 얼마인가'라는 질문을 멋지게 표현한 것입니다. 하지만 미래를 예측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비..
엔비디아(NVIDIA)의 경쟁사, AI 관련주, AMD 알아보기 목차 1. AMD 기업 소개 2. AMD 2023년 1분기 실적 3. AMD 비즈니스의 지속 가능성 4. AMD의 AI 전략 공개 엔비디아(NVIDIA)는 그래픽 처리 장치(GPU)를 통해 제너레이티브 AI(생성형 AI)에 대한 수요 급증의 혜택을 누릴 수 있는 이상적인 위치로 전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고성능 컴퓨팅, 그래픽, 시각화 기술 분야의 또 다른 글로벌 선두주자인 AMD(Advanced Micro Devices)에 주목해 보겠습니다. 1. AMD 기업 소개 AMD는 개인용 컴퓨터와 게임 콘솔부터 데이터 센터의 강력한 서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최첨단 실리콘 칩을 개발합니다. 중앙 처리 장치(CPU) 및 그래픽 처리 장치(GPU)에 대한 AMD의 뛰..
소비자물가지수(CPI) 뿌시기 (범주, 가계에 미치는 영향) 지난 2010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이하 연준)는 "경제 회복 속도를 촉진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인플레이션이 목표치에 부합하도록 돕기 위해(to promote a stronger pace of economic recovery and to help ensure that inflation, over time, is at levels consistent with its mandate)" 공격적인 통화 정책을 정당화했습니다. 현재도 연준은 거시적 수준에서 작동하면서 인플레이션을 조절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인플레이션은 미시적인 수준에서, 특히 가계에 어떤 의미를 가질까요? 인플레이션의 가장 잘 알려진 척도 중 하나인 소비자물가지수(Consumer Price Index·CPI)의 분석을 통..
버크셔 해서웨이가 돈을 버는 방법(손익계산서, 주주서한) 버크셔 해서웨이를 주제로 한 흥미로운 뉴스레터가 있어서 이번 포스팅에서 그 내용을 함께 살펴보려고 합니다. 1. 버크셔 해서웨이가 돈을 버는 방법 2. 버크셔 해서웨이 FY22 손익계산서 3. 워렌 버핏의 주주서한 주요 내용 1. 버크셔 해서웨이가 돈을 버는 방법 버크셔 해서웨이는 보험, 금융에서부터 제조, 소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산업에 걸쳐 많은 비즈니스를 소유하고 있는 지주회사입니다. 그 포트폴리오에는 GEICO, Dairy Queen, Duracell과 같이 잘 알려진 브랜드와 덜 알려졌지만 수익성이 높은 몇몇 자회사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버크셔 해서웨이의 성공 비결 중 하나는 유능한 경영진을 보유한 기업을 인수해 독립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내버려두는(?) 독특한 비즈니스 모델입니다. 비용 절..
스타벅스, 커피를 파는 은행 (손익계산서, 지속가능성, 어닝콜) 나라마다, 지점마다 특색 있는 매장 인테리어, 진동벨 없이 고객의 이름을 부르는 시스템 등 스타벅스는 '스타벅스만의' 무언가를 가지고 있는 브랜드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스타벅스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1. 스타벅스, 커피를 파는 은행 2. 스타벅스 Q1 FY23 손익계산서 3. 스타벅스의 지속가능성 4. 스타벅스의 새 CEO 5. 가장 최근 어닝콜에서 주목할 내용 1. 스타벅스, 커피를 파는 은행 누군가는 스타벅스를 '커피를 파는 은행' 혹은 '커피 체인으로 위장한 리워드 프로그램'이라고 부릅니다. 그만큼 스타벅스는 일찍이 앱 경제를 받아들였고 별 적립 제도와 리워드 프로그램이 활성화되어있습니다. 스타벅스 별이란, 스타벅스 별은 매장 방문 횟수가 아닌 지출한 금액을 기준으로 보상을 지급하는 것이 ..

반응형